나스닥 집중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SCHD와 NOBL 선택 가이드

이미지
내 자산의 대부분이 기술주에 집중되어 있어서, 지난 1년 동안 나스닥 지수 상승의 혜택을 상당히 누렸다. 나스닥 지수는 기술주 중심으로 강한 상승을 보여줬기 때문에, 내 포트폴리오도 그에 따라 큰 수익을 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집중된 투자 방식의 위험성을 의식하게 되면서, 전체 자산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나스닥 지수와 겹치지 않는 상품들을 추가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려고 하고 있다. 현재 개별 주식으로는 코카콜라와 리얼티인컴 비중을 조금씩 늘리고 있으며, ETF 쪽에서도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미국 배당 ETF들을 살펴보고 있다. 이러한 배당 ETF는 나의 기술주 중심 포트폴리오를 다소 안정적으로 바꾸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작년 즈음부터 경제적 자유, 조기 은퇴, 그리고 이른바 FIRE족(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배당 수익을 중심으로 하는 투자가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그중에서도 SCHD는 경제적 자유를 목표로 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특히 유명해졌고, 이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배당 ETF들을 비교하며 어떤 것이 나의 리밸런싱 전략에 적합할지 고민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배당 ETF인 SCHD와 NOBL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이다. 이는 나스닥100 지수를 따르는 QQQ나 S&P500 지수를 따르는 SPY와 유사하게, 특정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형태의 ETF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SCHD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먼저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가 어떤 지수인지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는 여러 조건을 만족하...

외화 RP 대안: BIL과 SGOV를 활용한 달러 투자 전략

이미지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원화 주문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달러로 환전해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을 선택할 것이다. 특히 미국 주식의 배당금이나 매도 금액이 달러로 들어오기 때문에, 달러 예수금이 쌓이는 경우가 필연적이다. 이처럼 발생한 달러 예수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 ‘외화 RP’라는 상품이 있다. 외화 RP는 일정 기간 동안 달러를 증권사에 맡기고 이자를 받는 방식으로, 마치 단기 예금과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필자도 이전에 키움증권의 외화 RP 매수 방법을 소개한 바 있다.  미국 주식 투자 시 달러 활용법: 외화RP 매매와 운용 전략 하지만 이 외화 RP의 경우 매수 절차가 그리 간단하지 않다. 특히 키움증권에서는 매일 오전 9시가 되면 수시물이나 7일물 외화 RP 상품이 거의 즉시 매수 불가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수량이 빠르게 소진되기 때문이다. 이런 어려움 때문에, 달러 예수금을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대안으로 '미국 초단기 국채 ETF'를 소개하려 한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BIL (SPDR Bloomberg 1-3 Month T-Bill ETF)과 SGOV (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가 있다. BIL의 배당률 SGOV의 배당률 외화 RP와 미국 초단기 국채 ETF 비교 외화 RP의 특징 외화 RP는 증권사에 일정 기간 달러를 맡기고 이자를 받는 금융 상품이다. 예를 들어, 키움증권의 외화 RP 이율은 연 4.3% 수준으로, 달러 예수금을 일정 기간 동안 안전하게 굴릴 수 있다. 그러나 외화 RP는 하루에 매수할 수 있는 수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적시에 매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미국 초단기 국채 ETF의 특징 이에 반해 미국 초단기 국채 ETF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만기 1년 이하의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대표적으로 BIL과 SGOV가 있다...

자산 관리의 끝판왕! 도미노 앱으로 해외주식부터 연금까지 한눈에

이미지
2019년에 시작된 해외 주식 관리 앱 탐색 2019년에 해외 주식을 시작하면서부터, 나는 국내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앱들의 한계를 실감했다. 대부분의 증권사 앱들은 불필요한 기능이 너무 많이 붙어있고, 복잡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직관적인 자산 관리를 방해했다. 이 때문에, 좀 더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한 주식 및 자산 관리 앱을 찾아 헤매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때 당시 국내에서는 만족스러운 앱을 찾기가 어려웠고, 결국 해외 앱으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내가 선택한 해외 주식 관리 앱 야후 파이낸스 (Yahoo Finance) 첫 번째로 선택한 앱은 야후 파이낸스였다. 이 앱은 포트폴리오를 간단하게 만들어 관리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웹사이트와 연동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이었다.  야후파이낸스 앱 화면 야후파이낸스 웹사이트 화면 주식 데이터를 웹에서 확인하면서 모바일 앱에서도 동일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은, 언제 어디서나 자산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만들어주었다. 다만, 내가 원하는 세부적인 자산 관리 기능은 부족했지만, 기본적인 주식 정보를 조회하고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었다. Webull (위불) 다음으로 사용해본 앱은 Webull이다.  Webull은 깔끔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덕분에 자산 현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해외 주식을 자주 거래하는 나로서는 복잡한 메뉴나 불필요한 기능이 없는 이 앱이 상당히 유용했다. 앱 내에서 간단한 차트를 통해 주가 변동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점도 큰 장점이었다. 해외 앱의 단점과 수작업의 불편함 하지만 이 두 앱에는 공통적인 문제가 있었다. 바로 매매 기록을 모두 수작업으로 입력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주식을 많이 거래하는 사람에게는 정말 큰 단점이 될 수 있는데, 나 역시 거래가 많았더라면 벌써 앱을 삭제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입력해둔 매매 기록들이 아깝다는 생각에 여전히 사용 중이다. 이와 같은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깔끔한 인...

국민연금, 정말 안정적인가? 투자 현황과 나의 불안

이미지
직장에 다니는 사람이라면 국민연금을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 것이다. 나 역시 매달 꽤 큰 금액을 내고 있지만, 솔직히 말해 노후에 이 돈을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는 이미 버린 지 오래다. 요즘은 그저 내 부모님을 부양한다는 마음으로 납부하고 있다. 이마저도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납부를 거부한다고 해서 피할 방법이 있는 것도 아니고, 국민연금은 국가에서 강제로 거두는 제도이기 때문이다. 청년은 덜 내고, 장년은 더 내라? 국민연금 개혁 논의 최근 국민연금의 고갈 시점을 늦추기 위한 방안으로 청년층은 덜 내고 장년층은 더 부담해야 한다는 내용이 언론에서 크게 다루어졌다. 하지만 여기서 '덜 낸다'는 표현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다. 단순히 청년들이 현재보다 부담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세대가 지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납부해야 하되, 그 증가 폭을 연령대별로 조정하여 청년들이 상대적으로 덜 내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 방안의 논리는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기금이 고갈될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더 많은 돈을 걷어야 하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 하지만 이 안을 두고 장년층은 장년층대로 불만을 표할 수 있다. 장년층이 더 부담을 져야 한다는 것은 결국 그들이 더 많은 돈을 낸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세대 간 갈등이 더 깊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민연금,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 걸까? 연금 개혁이 논의되는 가운데, 최근에는 국민연금이 가상화폐에 간접적으로 투자하기 시작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가상화폐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불확실한 자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부 사람들에게는 도박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국민연금이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투자라는 점에서 그 위험을 다소 줄였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국가 차원에서 가상화폐를 하나의 투자처로 인정하기 시작한 것일까? 국민연금이 운용하는 자금 규모는 무려 1100조 원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막대한 금액이 ...

주식 투자 목표 수익률 설정하기: 현실적인 기준은?

이미지
전세대출이나 신용대출 등 부채를 제외하면, 내 자산의 대부분이 주식에 들어가 있다. 이는 내 자산의 변동성이 주식 수익률에 크게 의존한다는 뜻이다. 주식 시장이 호황일 때는 자산이 크게 불어나지만, 반대로 하락할 경우에는 자산이 급격하게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해, 내 자산이 주식 시장의 등락에 따라 출렁이는 상황이다. 그래서 이렇게 리스크가 큰 투자를 할 때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렇다면 내 투자의 연간 목표 수익률을 어느 정도로 잡는 것이 좋을까? 단순히 ‘최대한 많이 벌면 좋겠다’는 막연한 바람이 아닌,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목표가 필요하다.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 나름대로 현실적인 수익률 목표를 설정해 보기로 했다. 물가 상승률을 기준으로 한 목표 첫 번째로 생각한 것은 물가 상승률이다. 물가가 오르면 화폐의 실질 가치는 하락하기 때문에, 적어도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는 수익을 내야 자산의 실질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만약 내 자산은 그대로인데, 내가 구입하는 물건들의 가격이 오른다면 실질적으로 자산이 줄어든 셈이 된다. ‘지표누리’라는 정부 웹사이트에서 2023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을 확인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가정에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조사해 산출된 값이다. 2023년의 물가 상승률은 2022년에 비해 약 3.6%였다. 이와 함께 생활물가상승률도 찾아보았다. 생활물가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일부로, 주로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144개 품목의 가격을 바탕으로 산출된다. 2023년 생활물가상승률은 3.9%로, 물가상승률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물가 상승률을 기준으로 보면 최소한 연간 4% 이상의 수익률을 달성해야 실질적인 자산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금리 변화에 따른 목표 수익률 두 번째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금리다. 금리는 예금, 채권 등 안정적인 자산의 수익률과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금리가 낮을 때는 주식시장이 유리해 보이지만, 금리가 높아지면 안전 자산...

ISA 계좌에서 RP 매매로 예수금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이미지
ISA 계좌를 활용한 RP 매매 활용법 현재 사용 중인 웰컴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은 연 3.2%의 이율을 제공하지만, ISA 계좌에서 예수금이 놀고 있으면 기회비용이 발생할 것 같아 보인다. 그래서 이미 키움증권에서 외화RP를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무증권의 ISA 계좌에서도 원화 예수금을 RP 매매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용해보려고 했다. 미국 주식 투자 시 달러 활용법: 외화RP 매매와 운용 전략 RP 매매란? 키움증권에서 외화RP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바 있다. 이를 통해 쌓인 달러 예수금을 7일짜리 예금처럼 운용할 수 있었다. RP자유약정형, RP약정형, RP혼합약정형 ISA 계좌에 원화 현금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옵션을 고려해볼 수 있다: 자유약정형: 만기가 없으며 수시로 매매할 수 있다. 일반적인 파킹통장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이율이 낮다. 약정형: 최소 31일 동안 자금이 묶여야 하지만 이율이 높다. 만기가 길수록 이율이 높아진다. 혼합약정형: 만기가 7~30일로 상대적으로 짧으며, 약정형보다는 이율이 낮지만 자유약정형보다는 높다. 나는 한 달 동안 예수금을 사용할 계획이 없었기 때문에, 약간 높은 이율을 제공하는 'RP약정형'을 선택했다. 약정형은 만기일에 맞춰서 매도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만기일에 맞추지 않으면 이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ISA 계좌에서 RP 매매의 이점 은행에서 예금이나 적금을 하면 만기 시 세금이 붙는다. 세율은 15.4%이다. 하지만 ISA 계좌는 세제 혜택을 제공한다. 수익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라는 뜻이다. 이는 RP 매매에도 적용된다! 다시 말해, 시중은행에서 3.00% 예금을 들면, 세금 떼고 나면 실질적인 이율은 3.00*(100-15.4)/100= 2.538%이다. 반면, ISA에서 3.00%짜리 RP를 매수하면 비과세 혜택 덕분에 시중은행에서 3.546%짜리 예금을 든 것과 비슷하다.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하지만 RP 매매를 위해 IS...

해외 주식 투자 정보, 이렇게 얻는다: 유용한 채널 4가지

이미지
해외 주식에 대한 정보 접근은 국내 주식과 비교해 다소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해외 주식 관련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가 자주 이용하는 해외 주식 투자 정보 채널들을 자세히 소개하겠다. 1. 한국경제 글로벌마켓 웹사이트:  한경글로벌마켓 | 한국경제 (hankyung.com) 유튜브 채널:  한경 글로벌마켓 - YouTube 한국경제에서 운영하는 '한국경제 글로벌마켓'은 해외 주식과 글로벌 금융시장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이다. 특히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는 뉴욕 특파원들이 매일 아침 뉴욕 증시 시황을 라이브로 전달해 주는 유튜브 방송이다. 코로나 시절부터 재택근무를 하면서 이 방송을 통해 출근길에 시장 정보를 얻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한경 글로벌마켓 웹사이트에서는 깊이 있는 기사를 제공하며, 기사 내용은 유튜브 라이브 방송으로도 제공된다. 과거에는 회원 가입 없이 자유롭게 기사를 열람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회원 전용으로 운영되며 가입만 하면 무료로 기사를 볼 수 있다. 출퇴근 시간이나 여유가 있을 때, 심도 깊은 정보를 얻는 데 유용하다. 2. 토스 증권 뉴스 내가 주로 사용하는 앱 중 하나는 토스 앱이다. 토스 앱의 '토스 증권 뉴스' 기능은 내가 설정한 관심 종목에 대한 최신 뉴스와 주가 변동 알림을 제공한다. 토스 증권 계좌를 만들지 않고도 관심 종목에 추가해 두면, 관련 뉴스와 5% 이상의 주가 변동이 있을 때 알림을 받을 수 있다. 알림은 앱 푸쉬를 통해 즉각적으로 제공되며, '커뮤니티 알림'을 통해 인기글과 화제가 되는 내용도 함께 받을 수 있다. 이 기능의 장점은 빠르고 즉각적인 소식 전달이 가능하다는 점이며, 앱 푸쉬를 통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뉴스의 깊이가 깊지 않고 단발성 뉴스 확인용으로 적합하다는 점은 단점이다. 3. 카카오페이 증권 '무지 쓸모 있는 투자 소식' 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