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TQQQ인 게시물 표시

해외 레버리지 ETF 장기투자, 정말 괜찮을까?

이미지
최근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 해외 레버리지 ETF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미국 증시를 추종하는 나스닥100 3배 레버리지 ETF(TQQQ)와 반도체 3배 레버리지 ETF(SOXL)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레버리지 ETF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지만, 이면에는 장기 투자 시 간과하기 쉬운 여러 가지 비용과 리스크가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외 레버리지 ETF 장기 투자에 따르는 리스크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짚어보겠다. 1. 레버리지 ETF란 무엇인가? 레버리지 ETF는 기초자산의 일일 수익률을 2배, 3배로 추종하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ETF)다. 예를 들어, 나스닥100 지수가 하루에 1% 상승하면, 나스닥100 3배 레버리지 ETF(TQQQ)는 3% 상승하는 구조다. 반대로, 지수가 1% 하락하면 ETF는 3% 하락한다. 이런 특성 때문에 레버리지 ETF는 단기적으로 큰 수익을 노릴 수 있지만, 반대로 큰 손실을 입을 가능성도 높다. 레버리지 ETF는 보통 스왑 계약(Total Return Swap)을 통해 이러한 구조를 유지한다. 운용사는 투자자의 자금뿐만 아니라 차입금을 이용해 기초자산의 2배나 3배 포지션을 만든다. 2. 레버리지 ETF의 보이지 않는 비용 레버리지 ETF를 장기 보유할 때 주의해야 할 가장 큰 요소는 바로 비용이다. 레버리지 ETF는 차입금을 이용한 투자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이자 비용이 발생한다. 이런 비용은 ETF의 순자산가치(NAV)에 반영되어 결국 투자자가 부담하게 된다. 비용 구조 분석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자료에 따르면, 2배 및 3배 레버리지 ETF의 연간 비용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3배 레버리지 ETF: 연간 약 12% 2배 레버리지 ETF: 연간 약 6~7% 구체적인 비용 공식은 다음과 같다. 3배 레버리지 ETF 비용: [SOFR + 30~40bp] X 2.1~2.4 (스왑 포지션 비율) + 90~100bp (운용 수수료 등) 2배 레버리지 ETF 비용: ...

라오어의 무한매수법 v2.2 / v3.0 방법론 완벽정리 및 시트공유

이미지
라오어의 무한매수법이란? 라오어의 무한매수법은, '라오어'라는 필명을 쓰는 치과의사가 고안한 레버리지 투자 전략이다. 모든 방법론은 라오어님이 출간한 책에 소개 되어 있으며, 책 출간 이후 업데이트 되는 내용은 네이버 카페에 올라오고 있다. 들어가기 앞서 미리 말하지만, 무한매수법은 고위험 투자 전략이다. 3배 레버리지 상품의 변동성을 이용하는 이 방법은 절대 원금을 보장하지 않는다. 특히 하락장에서는 계좌가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어떤 리스크를 감수하는지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무한매수법의 계산 방식은 정말 간단해서 누구나 엑셀로 시트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엑셀 작성이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도 많아서, 라오어님이 직접 엑셀 시트 만드는 방법을 영상으로 올리거나, 오프라인 강의를 통해 알려주기도 한다. 심지어 무한매수법을 위한 앱까지 나왔으니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그렇지만 나는 다른 사람이 만든 엑셀 시트나 앱에 의존하기보단, 직접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무한매수법 시트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스스로 방법을 이해하고 시트를 작성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훨씬 더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번 글에서는 무한매수법과 v2.2과 최근에 발표된 v3.0을 간단히 설명하고, 내가 만든 구글 스프레드시트도 같이 공유한다. LOC 매도/매수 무한매수법에 입문하려면 먼저 'LOC 매수'와 'LOC 매도'를 이해해야 한다. LOC 매수/매도란, 시장이 마감된 후 종가가 내가 설정한 가격보다 유리할 때 체결되는 주문 방식이다. 예를 들어, 애플 주식을 100달러에 'LOC 매수'로 걸어두고 잠을 잔다고 하자. 만약 그날 종가가 100달러보다 싸다면 매수 거래가 체결된다. 반대로 종가가 100달러보다 비싸면 거래는 체결되지 않는다.'LOC 매도'는 이와 반대다. 내가 100달러에 매도를 걸어두면, 종가가 100달러보다 높을 때 매도 거래가 체결된다. 다시 말해,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