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에서 RP 매매로 예수금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ISA 계좌를 활용한 RP 매매 활용법

현재 사용 중인 웰컴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은 연 3.2%의 이율을 제공하지만, ISA 계좌에서 예수금이 놀고 있으면 기회비용이 발생할 것 같아 보인다.

그래서 이미 키움증권에서 외화RP를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무증권의 ISA 계좌에서도 원화 예수금을 RP 매매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용해보려고 했다.

미국 주식 투자 시 달러 활용법: 외화RP 매매와 운용 전략



RP 매매란?

키움증권에서 외화RP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바 있다. 이를 통해 쌓인 달러 예수금을 7일짜리 예금처럼 운용할 수 있었다.


RP자유약정형, RP약정형, RP혼합약정형

ISA 계좌에 원화 현금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옵션을 고려해볼 수 있다:

  • 자유약정형: 만기가 없으며 수시로 매매할 수 있다. 일반적인 파킹통장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이율이 낮다.
  • 약정형: 최소 31일 동안 자금이 묶여야 하지만 이율이 높다. 만기가 길수록 이율이 높아진다.
  • 혼합약정형: 만기가 7~30일로 상대적으로 짧으며, 약정형보다는 이율이 낮지만 자유약정형보다는 높다.


나는 한 달 동안 예수금을 사용할 계획이 없었기 때문에, 약간 높은 이율을 제공하는 'RP약정형'을 선택했다. 약정형은 만기일에 맞춰서 매도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만기일에 맞추지 않으면 이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ISA 계좌에서 RP 매매의 이점

은행에서 예금이나 적금을 하면 만기 시 세금이 붙는다. 세율은 15.4%이다. 하지만 ISA 계좌는 세제 혜택을 제공한다. 수익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라는 뜻이다. 이는 RP 매매에도 적용된다!

다시 말해, 시중은행에서 3.00% 예금을 들면, 세금 떼고 나면 실질적인 이율은 3.00*(100-15.4)/100= 2.538%이다. 반면, ISA에서 3.00%짜리 RP를 매수하면 비과세 혜택 덕분에 시중은행에서 3.546%짜리 예금을 든 것과 비슷하다.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하지만 RP 매매를 위해 ISA 계좌에 3년 동안 돈이 묶이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물론 원금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출금할 수 있지만, 좀 더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개인의 상황에 따라 시중은행에서 우대금리 조건이 붙은 3년짜리 예금보다는 ISA 계좌에서 RP 매매를 하는 게 더 나을 수 있다.

자유약정형으로 매수하면 원금에 대해서는 파킹통장에 넣어둔 것과 비슷하다. 연 2천만 원 입금 한도가 있으며, 출금 시 입금 한도가 복원되지 않는다.

나처럼 가용 현금이 있고 딱히 다른 곳에 투자하기 애매한 상황이라면, ISA 계좌에 예수금을 넣고 RP 매매로 굴리는 것이 이득이다. 레버리지 투자를 위해 예탁금을 현금으로 두는 것보다 RP 매매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요즘 저축은행 파킹통장이 연 3.0~3.5%인 것을 감안하면, ISA에서 RP를 매수하는 것이 이득이다. 다만, RP 매매는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험도는 '매우 낮은 위험'으로 분류된다. 각자가 리스크를 판단해서 잘 투자해야 할 것이다.



마무리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 ISA 계좌에서 투자할 돈이라면 시중은행의 파킹통장보다는 RP 매매가 더 유리하다 (이율 비교 필수).
  • 레버리지 매매 때문에 예탁금을 넣어둬야 한다면, 현금으로 두는 것보다 RP 매매를 고려해보자.
  • 상황에 맞게 만기를 고려하여 자유약정형, 약정형, 혼합약정형을 선택하자.
  • 약정형의 경우, 만기에 맞춰서 매도하지 않으면 손해를 볼 수 있으니 만기일을 잘 챙기자.
  • 신경 쓰기 귀찮다면 약간 이율이 낮은 자유약정형을 선택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 RP 매매는 '매우 낮은 위험'으로 분류되지만 원금 보장 상품은 아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게 RP 매매를 현명하게 활용하길 바란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라오어의 무한매수법 v2.2 / v3.0 방법론 완벽정리 및 시트공유

공포탐욕지수란 무엇인가? (CNN fear & greed index)

미국 주식 투자 계좌 선택 가이드: 일반계좌, 연금저축, IRP, ISA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