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NOBL인 게시물 표시

나스닥 집중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SCHD와 NOBL 선택 가이드

이미지
내 자산의 대부분이 기술주에 집중되어 있어서, 지난 1년 동안 나스닥 지수 상승의 혜택을 상당히 누렸다. 나스닥 지수는 기술주 중심으로 강한 상승을 보여줬기 때문에, 내 포트폴리오도 그에 따라 큰 수익을 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집중된 투자 방식의 위험성을 의식하게 되면서, 전체 자산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나스닥 지수와 겹치지 않는 상품들을 추가하여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려고 하고 있다. 현재 개별 주식으로는 코카콜라와 리얼티인컴 비중을 조금씩 늘리고 있으며, ETF 쪽에서도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미국 배당 ETF들을 살펴보고 있다. 이러한 배당 ETF는 나의 기술주 중심 포트폴리오를 다소 안정적으로 바꾸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작년 즈음부터 경제적 자유, 조기 은퇴, 그리고 이른바 FIRE족(Financial Independence, Retire Early)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배당 수익을 중심으로 하는 투자가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그중에서도 SCHD는 경제적 자유를 목표로 하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특히 유명해졌고, 이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배당 ETF들을 비교하며 어떤 것이 나의 리밸런싱 전략에 적합할지 고민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배당 ETF인 SCHD와 NOBL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한다.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는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를 추종하는 패시브 ETF이다. 이는 나스닥100 지수를 따르는 QQQ나 S&P500 지수를 따르는 SPY와 유사하게, 특정 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형태의 ETF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SCHD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먼저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가 어떤 지수인지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는 여러 조건을 만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