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환평가손익인 게시물 표시

미국 주식 환평가손익, 환차손익, 환실현손익의 차이와 계산법

이미지
미국 주식은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야 한다. 원화로 주문하든, 미리 환전해 예수금을 보유하든 결국 달러로 바꿔야 한다. 환율은 매일 변동하므로 시간이 지나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환율이 오르내리면 수익이 났는지 손실이 났는지 혼란스러울 때가 많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키움증권의 모바일 영웅문S#을 기준으로, 환평가손익, 환차손익, 환실현손익이 무엇인지 알아보겠다. 다른 증권사도 대체로 비슷할 것이다. 환평가손익 환평가손익은 현재 환율을 기준으로 보유한 미국 주식을 원화로 환산했을 때의 예상 손익을 의미한다. 이는 현재 시점에서 주식을 전부 매도해 원화로 바꿨을 때 발생하는 손익이다. 공식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환평가손익 = 평가금액($) * 현재환율 - 매입금액($) * 매입환율 아래 예시를 살펴보자. META의 보유 수량이 11주, 매입가가 495.1390달러다. 현재가가 503.4800달러이기 때문에, 수익률은 +1.68% 인 상황이다.  그런데 분명히 수익률이 플러스인데, 환평가손익/환차손익이 마이너스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환율 차이 때문이다. 매입환율은 1367.65원이었는데, 현재환율은 1344.30원이다. 환율이 떨어졌기때문에, 지금 META를 모두 매도해서 원화로 바꾸면 환평가손익인 -3850원 만큼 손해다. 즉, 환평가손익은 원화로 환산한 매입금액과 평가금액의 차이로 계산된다. 결론적으로 '내가 이거 지금 다팔고 원화로 바꾸면 이득이야 손해야?' 에 대한 답변은 '환평가손익'을 확인하면 된다. 환차손익 환차손익은 주가 변동은 무시하고 오직 환율 변동만 따졌을 때의 손익을 나타낸다. 환차손익 공식은 다음과 같다. 환차손익 = 매입금액($) * (현재환율 - 매입환율) 이 손익은 환율 변동만 반영한 것이므로, 실제 투자에서 큰 의미는 없다. 주가와 환율 모두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환차손익은 참고용으로 보는 것이 좋다. 환실현손익 환실현손익은 주식을 매도한 후 실제로 원화로 환전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