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투자 시 달러 활용법: 외화RP 매매와 운용 전략

달러 예수금, 외화 RP 활용 방법과 팁 미국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원화 주문이나 환전을 통해 달러가 계좌에 쌓이게 된다. 매수 시에도 달러가 필요하고, 매도 후에도 대금이 달러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계좌에 쌓인 달러를 단순히 놔두기에는 아까운 부분이 있다. 단기 예금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외화 RP 매매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사용하면서 발견한 몇 가지 팁도 함께 공유해보겠다. 1. 외화 RP 매수하기 키움증권 영웅문 S# 앱에서 금융상품 > RP > 외화 RP 메뉴로 들어가면 RP에 대한 기본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외화 RP는 달러 예수금을 짧게나마 굴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최소 가입 금액은 100달러이며, 매매 가능 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다. 다만 이 상품은 원금 보장이 되지 않으며 예금자보호법의 보호 대상도 아니다. 매수 화면에 들어가면 수시(1일), 7일, 30일짜리 상품들이 나온다. 만기가 길수록 이율도 올라간다. 대략 4.3%에서 4.7% 수준의 이율로 운영되는데, 나는 주로 7일짜리를 매매한다. 예를 들어 1만 달러를 7일 동안 묶어두면 이자가 약 8.82달러 정도 발생한다. 하지만 키움증권의 외화 RP는 매수 가능 한도가 금방 소진되는 편이다. 자주 솔드아웃이 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불만이 많지만, 나도 다른 증권사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키움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매수 과정에서는 투자자 정보 확인 단계에서 나의 투자 성향에 따라 매매 가능한 상품이 정해진다. 나는 ‘위험 중립형’이라 외화 RP 매매가 가능했다. 매수 화면에서 이율과 중도 해지 시 적용되는 이율을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7일짜리와 30일짜리 상품은 중도 해지 시 이율이 절반 정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중도 해지가 예상된다면 수시 상품을 매수하는 게 더 유리하다. 2. 외화 RP 매도하기 매도는 매수보다 훨씬 간단하다. 보유 중인 RP 상품 목록에서 만기일을 확인하고 매도 버튼을 눌러 원하는 금액만큼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