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외화RP인 게시물 표시

외화 RP 대안: BIL과 SGOV를 활용한 달러 투자 전략

이미지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한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원화 주문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달러로 환전해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을 선택할 것이다. 특히 미국 주식의 배당금이나 매도 금액이 달러로 들어오기 때문에, 달러 예수금이 쌓이는 경우가 필연적이다. 이처럼 발생한 달러 예수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로 ‘외화 RP’라는 상품이 있다. 외화 RP는 일정 기간 동안 달러를 증권사에 맡기고 이자를 받는 방식으로, 마치 단기 예금과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필자도 이전에 키움증권의 외화 RP 매수 방법을 소개한 바 있다.  미국 주식 투자 시 달러 활용법: 외화RP 매매와 운용 전략 하지만 이 외화 RP의 경우 매수 절차가 그리 간단하지 않다. 특히 키움증권에서는 매일 오전 9시가 되면 수시물이나 7일물 외화 RP 상품이 거의 즉시 매수 불가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수량이 빠르게 소진되기 때문이다. 이런 어려움 때문에, 달러 예수금을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대안으로 '미국 초단기 국채 ETF'를 소개하려 한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BIL (SPDR Bloomberg 1-3 Month T-Bill ETF)과 SGOV (iShares 0-3 Month Treasury Bond ETF)가 있다. BIL의 배당률 SGOV의 배당률 외화 RP와 미국 초단기 국채 ETF 비교 외화 RP의 특징 외화 RP는 증권사에 일정 기간 달러를 맡기고 이자를 받는 금융 상품이다. 예를 들어, 키움증권의 외화 RP 이율은 연 4.3% 수준으로, 달러 예수금을 일정 기간 동안 안전하게 굴릴 수 있다. 그러나 외화 RP는 하루에 매수할 수 있는 수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적시에 매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미국 초단기 국채 ETF의 특징 이에 반해 미국 초단기 국채 ETF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만기 1년 이하의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대표적으로 BIL과 SGOV가 있다...

ISA 계좌에서 RP 매매로 예수금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이미지
ISA 계좌를 활용한 RP 매매 활용법 현재 사용 중인 웰컴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은 연 3.2%의 이율을 제공하지만, ISA 계좌에서 예수금이 놀고 있으면 기회비용이 발생할 것 같아 보인다. 그래서 이미 키움증권에서 외화RP를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무증권의 ISA 계좌에서도 원화 예수금을 RP 매매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용해보려고 했다. 미국 주식 투자 시 달러 활용법: 외화RP 매매와 운용 전략 RP 매매란? 키움증권에서 외화RP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바 있다. 이를 통해 쌓인 달러 예수금을 7일짜리 예금처럼 운용할 수 있었다. RP자유약정형, RP약정형, RP혼합약정형 ISA 계좌에 원화 현금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옵션을 고려해볼 수 있다: 자유약정형: 만기가 없으며 수시로 매매할 수 있다. 일반적인 파킹통장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이율이 낮다. 약정형: 최소 31일 동안 자금이 묶여야 하지만 이율이 높다. 만기가 길수록 이율이 높아진다. 혼합약정형: 만기가 7~30일로 상대적으로 짧으며, 약정형보다는 이율이 낮지만 자유약정형보다는 높다. 나는 한 달 동안 예수금을 사용할 계획이 없었기 때문에, 약간 높은 이율을 제공하는 'RP약정형'을 선택했다. 약정형은 만기일에 맞춰서 매도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만기일에 맞추지 않으면 이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ISA 계좌에서 RP 매매의 이점 은행에서 예금이나 적금을 하면 만기 시 세금이 붙는다. 세율은 15.4%이다. 하지만 ISA 계좌는 세제 혜택을 제공한다. 수익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라는 뜻이다. 이는 RP 매매에도 적용된다! 다시 말해, 시중은행에서 3.00% 예금을 들면, 세금 떼고 나면 실질적인 이율은 3.00*(100-15.4)/100= 2.538%이다. 반면, ISA에서 3.00%짜리 RP를 매수하면 비과세 혜택 덕분에 시중은행에서 3.546%짜리 예금을 든 것과 비슷하다.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하지만 RP 매매를 위해 IS...

미국 주식 투자 시 달러 활용법: 외화RP 매매와 운용 전략

이미지
달러 예수금, 외화 RP 활용 방법과 팁 미국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원화 주문이나 환전을 통해 달러가 계좌에 쌓이게 된다. 매수 시에도 달러가 필요하고, 매도 후에도 대금이 달러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계좌에 쌓인 달러를 단순히 놔두기에는 아까운 부분이 있다. 단기 예금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외화 RP 매매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사용하면서 발견한 몇 가지 팁도 함께 공유해보겠다. 1. 외화 RP 매수하기 키움증권 영웅문 S# 앱에서 금융상품 > RP > 외화 RP 메뉴로 들어가면 RP에 대한 기본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외화 RP는 달러 예수금을 짧게나마 굴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최소 가입 금액은 100달러이며, 매매 가능 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다. 다만 이 상품은 원금 보장이 되지 않으며 예금자보호법의 보호 대상도 아니다. 매수 화면에 들어가면 수시(1일), 7일, 30일짜리 상품들이 나온다. 만기가 길수록 이율도 올라간다. 대략 4.3%에서 4.7% 수준의 이율로 운영되는데, 나는 주로 7일짜리를 매매한다. 예를 들어 1만 달러를 7일 동안 묶어두면 이자가 약 8.82달러 정도 발생한다. 하지만 키움증권의 외화 RP는 매수 가능 한도가 금방 소진되는 편이다. 자주 솔드아웃이 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불만이 많지만, 나도 다른 증권사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키움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매수 과정에서는 투자자 정보 확인 단계에서 나의 투자 성향에 따라 매매 가능한 상품이 정해진다. 나는 ‘위험 중립형’이라 외화 RP 매매가 가능했다. 매수 화면에서 이율과 중도 해지 시 적용되는 이율을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7일짜리와 30일짜리 상품은 중도 해지 시 이율이 절반 정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중도 해지가 예상된다면 수시 상품을 매수하는 게 더 유리하다. 2. 외화 RP 매도하기 매도는 매수보다 훨씬 간단하다. 보유 중인 RP 상품 목록에서 만기일을 확인하고 매도 버튼을 눌러 원하는 금액만큼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