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탐욕지수란 무엇인가? (CNN fear & greed index)
시장의 심리 상태 측정: 공포탐욕지수 (Fear and Greed Index) '공포에 사서 탐욕에 팔아라'와 '무릎에서 사서 어깨에서 팔아라'는 모두 투자 심리와 시장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격언들이다. 이들은 투자자가 시장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간단히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투자자들이 이성적으로 행동하기란 쉽지 않다. 시장은 종종 투자자들의 감정, 특히 공포와 탐욕에 의해 움직인다. CNN에서 제공하는 공포탐욕지수는 이러한 심리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수로,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느끼는 감정을 반영한다.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극도의 공포', 100에 가까울수록 '극도의 탐욕'을 나타낸다. CNN 공포탐욕지수 링크 2024년 9월 6일 기준 공포탐욕지수 예를 들어, 9월 6일 기준으로시장은 39점으로 '공포' (fear) 상태에 있으며, 1주일 전에는 62점으로 '탐욕' (greed) 상태였다. 한 달 전에는 '극도의 공포' (extreme fear) 상태였고, 1년 전에는 탐욕 상태였다는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공포탐욕지수의 7가지 구성 요소 공포탐욕지수는 총 7가지의 지표들을 고려하여 산출된다. 1. 주식 가격의 모멘텀 S&P 500 지수의 125일 이동평균선과 비교한 현재 지수 수준. 현재 125일 이동평균선 위에 있지만, 거의 맞닿아가기 때문에 '공포'로 판정되었다. 2. 주식 가격의 강도 52주 최고가 및 최저가를 기록한 종목의 비율을 비교하여 '탐욕' 또는 '공포'를 판정한다. 현재는 52주 최고가를 기록한 종목이 많기 때문에, '탐욕'으로 판정되었다. 3. 주식 가격의 폭 상승 종목과 하락 종목의 비율을 측정하며, 현재 '극도의 탐욕' 상태로 판정되었다. 4. 옵션 거래 콜 옵션과 풋 옵션의 거래량 비율을 측정하며, '극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