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투자 계좌 선택 가이드: 일반계좌, 연금저축, IRP, ISA 활용법

나는 대부분의 자산을 미국 주식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투자 계좌로는 일반계좌, 연금저축펀드, IRP, ISA 등 여러 가지 선택지가 있지만, 다양한 옵션이 있는 만큼 어떤 계좌를 선택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각 계좌의 특징과 활용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개별주 투자는 일반계좌가 유일한 선택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엔비디아, 테슬라, 코카콜라와 같은 개별 주식을 매수하려면 일반계좌 외에는 방법이 없다. 연금저축펀드, IRP, ISA 계좌에서는 미국 주식의 개별 종목 투자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일반계좌에서 개별 주식을 매매할 경우 수익이 250만 원을 초과하면 그 초과분에 대해 22%의 양도소득세를 납부해야 한다는 점이다. 더군다나 증권사마다 선입선출 계산 방식이 다르며, 환율 변동으로 인한 이익도 수익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정확한 손익 계산이 복잡해진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가계산 결과를 참고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 매도하기 전까지는 세금 폭탄을 맞을 위험이 있다. 나 역시 과거에 계산 실수로 200만 원 이상의 세금을 낸 경험이 있다. 결론적으로, 개별 주식은 일반 위탁 계좌에서만 매매가 가능하다. 개별주 대신 ETF에 투자하려면? 개별주 대신 ETF에 투자하고 싶다면 선택지가 더 많다. 많은 사람들이 S&P500이나 나스닥 지수에 연동된 ETF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실제로 최근 10년간의 성과를 고려하면 SPY나 QQQ를 사는 것이 안전한 선택으로 보인다. 일반계좌에서는 SPY, IVV, VOO, SPLG와 같은 S&P500 ETF나 QQQ 같은 나스닥 추종 ETF를 손쉽게 매수할 수 있다. 또한, SCHD나 JEPI 같은 고배당 ETF도 인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ETF 역시 개별주와 마찬가지로 250만 원을 초과한 수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야 하며, 배당금에 대해서는 15%의 세율이 적용된다. 나무증권 일반계좌 개설화면 미국 상장 ETF는 일반계좌에서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