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적립식투자인 게시물 표시

15개월간 매월 100만 원, 엔비디아·테슬라 적립식 투자 성적표 공개

이미지
나는 2024년 3월, 그러니까 작년 봄부터 지금까지 매월 월급날마다 엔비디아와 테슬라를 꾸준히 매수해왔다. 매월 정확히 100만 원씩만 사모았으며, 중간에 단 한 번도 매도하지 않았다. 단순히 ‘싸보일 때 사자’가 아니라, 정해진 시점에 정해진 금액을 기계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이었다. 어느새 이렇게 15개월이 지났고, 그동안의 성과가 궁금해져서 이렇게 중간 점검을 해보게 되었다. 사실 매수하는 동안에는 별다른 감정 기복 없이 진행했지만, 막상 데이터를 정리하고 보니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엔비디아 적립식 투자 결과 먼저 엔비디아부터 살펴본다. 2024년 3월 당시 엔비디아의 주가는 약 80달러 부근이었다. AI 열풍과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던 시기였지만, 그때만 해도 이렇게까지 빠르게 오를 것이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웠다. 아래 매수내역 표를 보면 알 수 있듯, 나는 매달 한화 기준 약 100만 원, 달러로는 700~900달러 정도를 정해 놓고 매수했다. 2024년 7월에는 두 차례 매수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 달에 현금 유동성이 조금 더 생겨 자연스럽게 추가 매수하게 된 것 같다. 또한 2024년 6월에는 10대 1 액면분할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주식 수가 크게 늘어나고 평균단가도 조정되었다. 액면분할은 단순히 가격을 낮춰 유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뿐, 기업의 가치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심리적으로 ‘주가가 싸 보인다’는 착시 효과가 있어 이후 소액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 최근 들어 엔비디아는 다시 한 번 강력한 상승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가(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입지,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기업들의 폭발적인 수요, 그리고 꾸준한 신제품 출시가 엔비디아의 주가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신고가를 찍는 현재 모습만 보면 단기적으로는 고점 부담이 있어 보일 수도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성장성과 기술력이 뒷받침되기에 장기 투자 관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