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로 ACE미국S&P500 ETF 27개월 투자 후기
나는 여러 개의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운용하고 있다. 그 중 2022년 7월부터 2024년 10월 현재까지 꾸준히 ACE미국S&P500 ETF만 매수해온 계좌의 수익률을 확인해 보자.
한편, 연금저축펀드에 입금한 돈 중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은 아무런 불이익 없이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연금저축펀드에 매년 600만 원을 채워 넣는 사람이라면 해외 주식 ETF를 일반 계좌에서 운용할 필요가 없다.
매년 연금저축펀드 600만 원과 IRP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소득에 따라 세액공제 비율은 16.5% 또는 13.2%다.
국내 상장 해외 ETF를 일반 계좌에서 거래할 경우, 차익에 대해 15.4%의 세금을 내야 한다. 예를 들어 ACE미국S&P500 ETF를 100만 원에 사서 200만 원에 팔면, 차익 100만 원에 대해 15만 4천 원의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배당금 역시 마찬가지로 과세된다.
그러나 연금저축펀드에서 국내 상장 해외 ETF를 운용하면 매매 차익과 배당금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연금 수령 시 3.3%~5.5%의 세금 부과).
연금저축펀드에 600만 원을 채운 후 추가로 납입한 금액은 추후 인출해도 불이익이 없다. 즉, 연금저축펀드에 600만 원과 추가 100만 원을 납입한 후 운용할 경우, 추가 100만 원은 운용 시 비과세 혜택을 받고, 인출 시에도 불이익이 없다는 의미다.
연금저축펀드 매수 내역
연금저축펀드 수익률
2022년 7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약 27개월 동안 수익률은 +33.24%를 기록했다. 운 좋게도 2022년 하락장에서 매수 비중을 높였던 것이 수익으로 이어졌다.
![]() |
SPY (분홍색)과 ACE ETF (파란색)의 비교 |
ACE미국S&P500 ETF는 환노출 상품이기 때문에, 환율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SPY의 주가를 완전히 똑같이 따라가고 있지는 않다. 중간에 약간의 등락이 있었지만, 내가 매수를 시작한 22년 7월부터 비교했을때 현재 기준에서는 수익률의 거의 동일한 상태이다.
향후 운용 계획
이 계좌에서는 계속해서 매월 정해진 날짜에 ACE미국S&P500 ETF를 매수할 예정이며, 현재로서는 인출이나 매도 계획이 없다. 연금저축펀드의 가장 큰 단점은 만 55세까지 자금이 묶인다는 점이지만, 나는 연금저축펀드의 장점에 긍정적인 입장이다. 또한, 미국 주식 직접 투자와 비교했을 때 양도세 측면에서 이점이 있기 때문에, 연금저축펀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댓글
댓글 쓰기
Comment